Back To Top

Text

Text
-

장 재 혁  .  Janh Jang


(b. 1982, Seoul. Lives and works in Seoul.)




Solo Exhibition
2016  Lullaby For Blind
2015  Holding Effect - Seoul Art foundation PLUS

Group Exhibition
2016  Unexpected Salon
2015  My Collection - Seoul Art foundation PLUS
2015  The First - Portfolio Exposition, Seoul Art foundation PLUS
2014  Salute - Gallery Koo Open Exhibition

Art Fair
2017  BAZAAR Art Zakarta - ART:1

Award
2015  Seoul Art foundation PLUS
Award of Portfolio Exposition - Sculpture / Installation - The Grand Prize



-

My work starts from the inside of my eyes when they are closed. Here, where the afterimage of light and my mysterious imagination in my head are being mixed, I can think infinitely and own freely. Everyone has this small universe and I want to bring up the story by figuring out this attractive space. The subjects that are formed in the relationship are individual to individual, group, society and more over these can be expended to nation and religion, thoughts and ideology. There is no limitation on this. Also I mainly focus on the process for carrying out the accord of each parts not the personal opinion and also pay attention to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at the beginning. Of course there is no answer for the outcome. As we are free in our own universe, I will not say to close eyes in the way of realizing the reality.



The color black


If somebody asks me why I use the color black, I tell him/her that I have lots of fear and then add that I have so many things to say and it is hard for me to explain countless colors of objet. When I first used black, I thought lot about the colors of objet that are related to the human body. This i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objet that can be changed when one particular color is used. I could think about the meaning again after I chose the black at the end and also I could get the opportunity to retrace this process. One teacher who taught me when I was young told me that the world contains all kinds of color. Because of this, I wanted to make the objet that have all kinds of color, but I could not make it happened and as the result, those all kinds of color ended up with black. To be honest, I was not satisfied with this, but I could know that it is the color that can contains all kinds of them. This color, black. started to be reinterpreted in the relation with my life. I used to like to be in the delusion with my eyes closed so that I could be out of the reality. If such conditions like darkness of the place, no sound and late time in the dawn were fulfilled, I became numb to all my senses whether I opened or closed my eyes. Moreover it helped a lot to the adventure as I felt that I was far away from the reality. When I opened my eyes after all these, I knew that I am in the reality, but all the images that I made up in the adventure or the stories were rich as the afterimage. From that moment I have realized that all I saw was, in fact, the dark, in other words, black. In a nutshell, the definition of black was firmly made up like it contains everything, cover them out or creates one.


Around that times, I heard one story about people who cover their body with oil and fire them out. Burning out the body is the most unbearable pain that the human could feel. Even though, this action can be interpreted into two ways, the meaning of light and the delivery of pain. What was the message that one tries to deliver by burning oneself as the fuel of light? At this point, I found black on their faces. So, what is the message they wanted to say, what made their faces black and why the world let them to be black? I thought that this black is not caused by the light, it was rather from the inside. This is because the desire for their dreams and the ideals that are come from each of their universe is showed through making themselves as the self-ignition. Also, I thoght it was the thing that are poured with the black that has the name, the world, whether this was actively or passively done. For this, I deemed that black could be spilt out from my own universe. Furthermore, under the fact that every people has black, we, including me, can be the subject who made this black and we can be the target to be covered with black. It has been clear what I have to say through the wave of black that we made in the world.


We are the formation of the world. Through our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we are making the connection like the spiderweb. I have a dream of utopia. Even though this is very small, we could make it by expanding our thoughts with the communications of our own universes and realizing the whole process of the problems we made by fitting in with the black. Eventually, this could offer us the opportunity to achieve the utopia.



-

나의 작업은 눈을 감았을 때 빛을 차단한 눈두덩의 뒤편에서 시작하게 된다. 남아있는 빛의 잔상과 머릿속 상상이 오묘하게 어우러진 이곳은, 한없이 사유(思惟)할 수 있는 작고도 무한한 사유(私有)공간이다. 누구나 이 작은 우주를 갖고 있으며 나는 이 매력적인 공간을 통해 관계와 사이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보려 한다. 관계를 이루는 대상은 개인과 개인, 그룹, 사회, 나아가 국가와 종교, 사상과 이념 간의 것 이상으로 확장 시킬 수 있으며, 여기에 제한은 두지 않았다. 또한 나는 그들 사이의 것에 대해 개인의 주장이 아닌 각자의 해소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과정과 시작에 있어서의 문제 인식에 집중한다. 물론 결과의 정답은 없다. 우리의 작은 우주에서 우리가 자유롭듯, 현실을 보는 방법에 있어 눈을 감으라 이야기 하진 않을 것이다.



검은색


누군가 내게 왜 검은색을 사용하느냐 묻는다면 나는 겁이 많아서라고 대답한다. 그리곤, 하고 싶은 얘기가 너무 많아서, 혹은 수많은 오브제들을 일일이 설명하기 힘들다고 이야기한다. 처음 검은색을 사용할 때에 나는 인체와 결합된 오브제의 컬러에 대해 고민이 많았다. 특정 색을 사용함으로써 변질될 수 있는 오브제의 성격에 대한 걱정 때문이었다. 그러다 결국 검은색을 칠하고선 다시금 몇 번에 걸쳐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고, 과정을 되짚어 볼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어린 시절 내게 가르침을 주신 선생님께선 세상 모든 것은 모든 색을 품고 있다고 이야기해주셨다. 이에 나는 모든 색을 다 가진 오브제를 만들어 내고 싶었지만, 당장 구현해 낼 수 없었고, 결국 색들은 전부 섞여 혼탁한 검은색으로 만들어졌다. 물론 맘에 들진 않았지만, 모든 것을 담을 수 있는 색이라는 개념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나서 이 개념은 나의 삶에 빗대어 재해석되기 시작했다. 평소 망상을 즐기던 나는 눈을 감고 현실을 잊은 채 모험하는 것을 좋아했다. 이때에 공간이 어둡고, 외부의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새벽시간의 조건이 충족되면, 감각이 무뎌져 눈을 뜨거나 감아도 현실이 모호한 상태가 되고 조금은 현실에서 탈피한 느낌을 가질 수 있어 모험에 큰 도움이 됐다. 눈을 감고 모험을 즐기다 눈을 떴을 때 이것이 현실인 것을 알고 있지만, 모험 속에서 상상해낸 이미지라던가 이야기는 여전히 잔상처럼 부유했고, 이때에 내가 본 모든 것은 사실 어둠, 즉 검은색이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모든 것을 담아내거나 꺼내어보고, 혹은 창조해 낼 수 있는 색으로서의 개념이 좀 더 확고해졌다.


이 즈음 내가 접할 수 있었던 소식 중엔 몸에 기름을 끼얹고 불을 붙이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가 있었다. 몸이 불에 타는 고통은 인간이 느낄 수 있는 가장 큰 고통이라는 이야기를 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몸에 불을 붙이는 행위는 두 가지로 해석되었다. 빛의 개념과 고통의 전달이다. 스스로를 빛의 연료로 태우면서까지 전달해야 할 이야기는 무엇이었을까. 이때에 나는 그들의 얼굴에서 검은색을 발견했다. 과연 이들이 세상에 전하는 메시지는 무엇이며, 이들을 검은색으로 만든 원인은 어디에 있으며, 왜 세상은 이들이 검은색으로 변하게끔 방치하였는가. 나는 그들의 얼굴에서 발견한 검은색이 불에 의한 결과가 아닌, 내면에서 스스로 뿜어져 나온 검은색이라고 여겼다. 분신을 하게 된 원인에 있어 그들의 작은 우주에서 비롯된 이상과 꿈에 대한 갈망이 자신을 발화제로 빛을 만드는 과정을 거쳐 밖으로 표출된 것이라 보았기 때문이다. 혹은 그 반대로 자의 든 타의든, 세상이라는 이름을 가진 검은색을 얼굴에 끼얹은 것이라 생각하기도 했다. 이에 나 또한 나의 작은 우주가 갖은 검은색이 밖으로 뿜어져 나올 수도 있다는 생각과, 나뿐만이 아닌 우리 모두가 검은색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세상이라는 이름의 검은색을 만든 구성원이 나를 포함한 우리 일수도 있으며, 우리의 얼굴에도 검은색이 덮쳐올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우리의 작은 우주와 불타버린 그들의 얼굴과 그리고 어느새 우리가 만들어낸 세상이 갖은 검은색의 파도를 통해 해야 할 이야기가 분명해졌다.


세상을 구성하는 것은 우리이며, 우리는 관계를 통해 거미줄처럼 연결고리를 만들어 나간다. 나는 이 관계의 사이에 검은색을 끼얹어 우리가 갖은 작은 우주가 서로 소통의 역할을 하여 우리가 빚어낸 문제의 과정과 이에 대한 인식의 사고를 넓히고, 이 모든 것의 계기를 제공함으로써 작지만 거대한 유토피아를 꿈꾼다.



-